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령 특급열차

덤프버전 :

파일:컵헤드 로고.svg
보스 목록
[ 펼치기 · 접기 ]

잉크통 섬 1

파일:1. 식물의_공포.svg파일:2. 무덤_속의_계략.svg파일:3. 위험천만_비행선.svg파일:4. 어처구니_없는_재앙.svg파일:5. 꽃의_분노.svg
파일:Psycarrot.png파일:Goopy Le Grande 1.png파일:Hilda Berg 1.png파일:Ribby and Croaks 1.png파일:Cagney Carnation 1.png
파일:1. 뿌리_괴물의_습격.svg파일:2. 구피_르_그란데.svg파일:3. 힐다_베르그.svg파일:4. 개굴이와_개골이.svg파일:5. 캐그니_카네이션.svg

잉크통 섬 2

파일:6. 흔들흔들_들썩들썩.svg파일:7. 위험한_피라미드.svg파일:8. 요란법석_대소동.svg파일:9. 우당탕탕_새장.svg파일:10. 타오르는_불꽃.svg
파일:Baroness Von Bon Bon.png파일:Djimmi The Great 1.png파일:Beppi The Clown 1.png파일:Wally Warbles 1.png파일:Grim Matchstick 1.png
파일:6. 봉봉_공작부인.svg파일:7. 위대한_지미.svg파일:8. 어릿광대_베피.svg파일:9. 재잘재잘_월리.svg파일:10. 끔찍깜찍_성냥군.svg

잉크통 섬 3

파일:11. 벌집_전투.svg파일:12. 쏘고_빼앗고.svg파일:13. 고물_대소동.svg파일:14. 설치류_군단.svg파일:15. 정신_나간_친구들.svg
파일:Rumor Honeybottoms 1.png파일:Captain Brineybeard.png파일:Dr Kahl's Robot 1.png파일:Werner Werman 1.png파일:Sally Stageplay 1.png
파일:11. 루머_허니바텀.svg파일:12. 짠수염_선장.svg파일:13. 칼_박사의_로봇.svg파일:14. 웨너_워먼.svg파일:15. 꼭두각시_샐리.svg
파일:16. 하늘과_바다의_사건.svg파일:17. 분노의_철도.svg
파일:Cala Maria 1.png파일:The Head of the Train.png
파일:16. 칼라_마리아.svg파일:17. 유령_특급열차.svg

피날레: 잉크통 지옥

파일:투명 10x10.png파일:18. 무산된_계략.svg파일:투명 10x10.png파일:19. 끝내주는_한_때.svg파일:투명 10x10.png
파일:King Dice.png파일:Devil 1.png
파일:18. 킹_다이스.svg파일:19. 악마.svg

DLC: 잉크통 섬 4

파일:20. 노움_난장판.svg파일:23. 완전_개판.svg파일:22. 밀매꾼_부기.svg파일:21. 눈의_교단_전투.svg파일:24. 정오의_대소동.svg
파일:death_card_mugshot_oldman_ph1.png파일:death_card_mugshot_dogfight_secret.png파일:death_card_mugshot_rumrunners_ph4.png파일:death_card_mugshot_snowcult_main.png파일:death_card_mugshot_cowgirl_ph2.png
파일:20. 거인_불퉁이.svg파일:23. 울부짖는_조종사들.svg파일:22. 담금이_떼.svg파일:21. 모티머_프리즈.svg파일:23. 에스더_윈체스터.svg
[ 스포일러 ]

파일:25. 죽어라_맛있는_요리.svg
파일:death_card_mugshot_saltbaker_ph1.png
파일:24. 셰프_솔트베이커.svg

그 외 보스들파일:death_card_mugshot_chess_queen.png파일:death_card_mugshot_graveyard.png
킹의 도약천사와 마귀




유령 특급열차
Phantom Express
파일:컵헤드 유령 특급열차.png
1. 개요
2. 패턴
3. 테마곡
4. 기타




1. 개요[편집]


컵헤드의 등장인물.


2. 패턴[편집]


난이도1페이즈 HP2페이즈 HP3페이즈 HP4페이즈 HP총합 HP
쉬움400320180(×2)X1080
보통425325200(×2)2001350
어려움425325200(×2)2001350
다른 보스들과는 달리 보통과 어려움 난이도의 체력이 동일하다.

  • 패리 가능한 오브젝트: 핸들(페이즈 1 ~ 4), 호박이 떨어뜨리는 벽돌(페이즈 1 ~ 2)[1], 분홍색 해골(페이즈 3), 꼬리에 달린 전구(페이즈 4)

추천 무기: 곡사포 및 집중탄[2], 집중포
추천 부적: 당분[주의], 연막(컨트롤 조금만 하면 3페이즈 보스의 레이저를 쉽게 피할 수 있다.)

공동묘지가 있는 으스스한 밤을 배경으로 한 철도를 달리는 유령 증기기관차 보스. 플레이어는 양 옆에 핸들이 있어 패리하면 좌우로 움직이는 바퀴 달린 판자에서 철도를 달리며 보스와 싸우게 된다. 핸들은 패리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야 다시 패리를 할 수 있고, 패리 가능한 오브젝트(호박이 떨구는 벽돌과 유령 격파 시에 나오는 해골)와 부딪혀도 작동되니 주의가 필요하다. 호박은 핸들에만 벽돌을 떨군다.

스테이지 근처로 다가가면 기차 경적 소리와 유령 소리가 들린다.

이미지페이즈설명
파일:Blind Specter.png1눈구멍이 하나 있고 눈알이 양 손바닥에 달린 보스 유령이 기관차의 제일 뒤에 있는 객차에서 플레이어를 놀래키며 등장한다.
*(H)(S) 핸들에 분홍색 벽돌을 떨어뜨리는 날개 달린 호박이 핸들이 움직이게끔 유도한다.
*(T)(C) 쏴서 터뜨릴 수 있는 통통 튀는 눈알들을 흩뿌린다. 눈알의 갯수가 많고 튕기며 다음 공격까지 딜레이가 적기 때문에 충전형 무기는 비추천.[3]
벽돌이 강제로 판자를 움직여 잘못하다 눈알에 맞을 수 있게 만들기 때문에 보이면 없애야 한다. 오른쪽 핸들이 두 번 연속 작동하면 망했다고 생각하고 다시 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쓰러뜨리면 겁에 질린 채 기차 안으로 숨는다.
Blind Specter[4]
“I can...see...into the future. You...will be...counting worms.”
내겐... 미래가... 보인다... 넌... 벌레나... 세게... 될 거야.
파일:T bone.png2승무원 모자를 쓴 거대한 해골이 객차를 뚫고 머리와 양 팔만 내민 채로 등장한다.
*(H)(S) 핸들에 분홍색 벽돌을 떨어뜨리는 날개 달린 호박이 핸들이 움직이게끔 유도한다.
*(C)(A) 손으로 그 밑을 내려찍는 패턴만을 쓴 후 들어갔다가 머리와 팔의 위치를 바꾼 채로 계속 나오는 것을 반복한다.
팔이 나온 곳 바로 밑만을 내려찍으므로 머리 쪽으로 가면 안 맞으나 호박의 벽돌 투척으로 인한 강제 이동을 주의하자. 또한 해골의 머리와 내려 찍은 후의 팔에 닿으면 역시 대미지를 입을 수 있으니 해골이 머리와 팔을 완전히 빼는 것을 기다렸다가 이동하는 것이 좋다.
팔과 팔 사이에도 공격 판정이 없으므로 머리 위치로 이동하지 못했어도 당황하지 말고 대처할 것.
어째서인지 호박 벽돌이 대부분의 경우 해골의 머리 위치로 이동시켜주기 때문에 패리를 하기보다는 타이밍을 봐서 직접적으로 피해가 올 것 같을 때에만 없애는 것이 속 편하다.
쓰러뜨리면 부들부들 떨며 기차 안으로 들어간다.
Conductor[5][6]
“All aboard!! Next stop -- your funeral.”
모두 승차하시오! 다음 정류소는... 당신들의 장례식이라오.
파일:Blaze Brothers.png3객차를 뚫고 목이 길고 머리만 보이는 구울 두 마리가 등장한다.
왼쪽과 오른쪽 둘 다 각자의 체력이 있어 따로 쓰러뜨려야 한다.
*(P)(C) 한 쪽이 머리를 잠시 분리 해 그 머리가 끝이 닿지 않을 정도까지 좌우를 왕복하며 입에서 전기를 레이저 쏘듯이 내뱉는다.
*(T)(S) 가운데 객차의 굴뚝 부분에서 플레이어를 추적하는 유령을 발사한다. 유령은 파괴하면 분홍색 해골을 떨어뜨린다.
레이저는 유령의 위치 반대 쪽 끝에서만 피할 수 있으므로 가운데 판자를 두었다가 심호흡하는 유령의 반대쪽으로 판자를 이동시킬 것.
연막탄 소지시 타이밍만 맞춘다면 대쉬로 레이저 회피가 가능하다. 판자를 이동했는데 유령을 없앴다가 핸들을 작동시켜서 자진해 번개 속으로 들어가는 꼴이 날 수 있으니 주의.
당분 부적을 이용 시에는 바로 보스에게 딜을 넣다가 레이저 준비동작을 할때 이동해도 아슬아슬하게 맞지 않는다. 이 페이즈는 날로 먹는 방법이 있는데, 발판을 한쪽 끝으로 이동시킨 뒤 화면 가장 끝에 붙어서 반대 쪽 위 방향으로 확산포를 계속 쏘고 있으면 보스의 공격도 안 맞고, 유령들이 발판을 이동시키지 못해 프리딜을 넣게 된다.
쓰러트리면 얼굴이 녹아내리며 목이 기차안으로 들어간다
쉬움 난이도에서는 이 페이즈에서 끝이다. 또한 한 마리가 녹아내리며 없어지기에 상당히 애매한 타이밍에 'A Knockout!'이 뜬다.
Lollipop Ghouls[7][8]
“Sorry! This train is only for the dead...but we can help you with that.”
미안하지만 이 열차는 망자들만 탈 수 있다오... 원한다면 죽은자로 만들어줄 순 있소만.
파일:The Head of the Train.png4플레이어를 본 기관차가 멈추더니 객차들을 떼어버리고 긴 다리가 생기면서 플레이어를 따라오기 시작한다.
*(P)(Q3) 코에서 해골 링을 발사한다.
*(P) 꼬리의 전구를 패링[9]하여 동력원의 덮개를 열면 타오르는 동력원에서 불꽃이 떨어진다.
평상시엔 피해를 줄 수 없고 꼬리에 달린 전구가 분홍색으로 빛날 때 패리로 약점인 불에 타오르는 동력원이 있는 덮개를 열어서 피해를 입힐 수가 있다.
해골 링은 수직으로 떨어지다가 플레이어가 있는 수평 축으로 날아오므로 점프로 잘 유도해 줄 것.
불꽃이 마구잡이로 떨어지는 가운데 해골 링을 피하기가 상당히 어려우므로 무작정 덮개를 열고 난투를 벌이기 보다는 해골 링을 피하고 나서 덮개를 열어 두 패턴이 겹치는 타이밍을 최소한이 되도록 조정해서 조심스럽게 지구전을 펼쳐보자.
어려움 난이도에서는 마지막 페이즈에도 벽돌을 든 호박들이 난입한다! 때문에 안 그래도 피하기 바쁜 페이즈가 더욱 정신사나워진다. 게다가 Train 의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
확산포가 있다면 점프하면서 호박까지 같이 없애면서 하자.
쓰러뜨릴 시 동력원이 꺼지고 꼬리의 전구가 깨진 채 고통스러워한다.
Train[10]
“What a glorious night for me to bring the fright!”
아주 영광스러운 밤이로군! 공포를 선사하기에 안성맞춤인걸![11]

보통 난이도 기준 단순 클리어 난이도는 그렇게 어렵지 않지만, A+ 달성 난이도는 손에 꼽을 정도로 까다롭다. 4페이즈의 랜덤 탄막의 회피 난이도가 쉽지 않을 뿐더러, 무엇보다 총 4페이즈나 되기에 2분 내로 클리어 하는 것이 상당히 까다롭다. 다행히 어려움 난이도에서는 시간 제한이 2분 9초로 늘어났고, 패턴 시전 속도가 빨라지고, 4페이즈에 패리 가능한 블럭을 추가로 떨어트리는 것 때문에 시간 제한이 그리 빡빡하진 않다. 대신 회피 난이도는 여전히 높기에 주의해야 한다.

곡사포를 쓰면 쉬움 난이도는 아예 날로 먹는 것이 가능하다. 1페이즈는 제자리에서 쏘고만 있어도 잡히고, 2페이즈는 팔이 닿지 않는 위치에서 쏴 주면 되고, 3페이즈는 위에 나온대로 한 쪽 끝으로 이동해서 쏘면 절대 맞지 않고 클리어할 수 있다.

엔딩에서는 눈먼 악령 하나만 대표로 참석한다.

3. 테마곡[편집]


Cuphead OST - Railroad Wrath [Music]


4. 기타[편집]


어찌된게 이미 유령인데 도박에 영혼을 걸고 빛을 지게 되었다.[12]

엔딩에서 눈먼 망령만 대표로 참석한 것 때문에 기차에 빙의했고 눈먼 악령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빚을 지지 않았다는 추측도 있다. 게다가 눈 모양과 입의 생김새까지 비슷하다. 다만 계약서에는 유령 특급열차라고 대놓고 써져 있는 것을 보면 가능성은 낮은 편.

애니메이션 컵헤드 쇼!의 시즌 1의 6화에서 유령 특급열차 팀의 일원인 눈먼 망령이 다른 유령들과 함께 이스터에그로 출현했다.

유령 급행열차의 유령들 컨셉은 <Swing you sinners>에서 따왔으며, 특이하게도 일본 요괴들의 모습을 하고 있다. 각각 테노메, 가샤도쿠로, 로쿠로쿠비, 오보로구루마와 비슷한 특성을 갖고 있다.
[1] 어려움 난이도는 페이즈 4도 추가, 심플 난이도에서는 나오지 않음.[2] 곡사포는 1페이즈와 4페이즈 안정성, 집중탄은 관통효과가 있어서 1페이즈의 눈알과 본체를 동시에 타격할 수 있다.[주의] 오토 패리인 점은 좋지만, 날아오는 핑크색 벽돌을 치려고 뛰었다가 핸들을치고 벽돌에 맞을 수 있고, 잘못 패리했다가는 보스에게 부딪히기 십상이다.[3] 사실 차징 무기로 깰 수는 있으나 차지 특유의 딜레이와 보스의 눈알들을 피해서 맞춰야되고 호박까지 봐가는데, 그렇게되면 난이도가 악마보다 더 어려워진다.[4] 공식 아트북 발췌, 178p[5] 공식 아트북 발췌, 179p[6] 이전엔 T-Bone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Conductor는 기차의 차장을 뜻한다.[7] 공식 아트북 발췌, 180p[8] 이전엔 Blaze Brothers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9] 패링 점수에 포함되지 않는다.[10] 공식 아트북에서 발췌, 181p[11] "What A Glorious Night"라는 찬송가의 패러디인 듯하다.[12] 어쩌면 유령이라기보단 자의식이 있는 사물에 가까운 기차 본체가 했을 가능성도 있다.살다살다 이젠 기관차까지 도박을 하는구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9:30:48에 나무위키 유령 특급열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